정경모 선생의 길을 찾아서

[길을찾아서] 봉사씨가 검은 흙속에 묻히는 뜻은 / 정경모(2009.5.4)

참된 2009. 9. 18. 12:32

[길을찾아서] 봉사씨가 검은 흙속에 묻히는 뜻은 / 정경모
정경모-한강도 흐르고 다마가와도 흐르고 1

한겨레 

 

 

 

» 어릴 적 영등포교회 부설 흥화유치원에 다닐 때 배운 ‘봉사씨’란 노래를 필자가 기억을 되살려 직접 악보에 옮겼다.(왼쪽) 1926년 당시 아버지가 장로로 일하던 그 교회의 목사 사택에서 세발자전거를 타고 있는 세 살 때의 필자.

 

 

내가 세상에 태어난 것이 1924년, 그러니까 그 5년 전에는 기미(己未) 독립운동(1919년 3·1운동)이 있었고 5년 뒤에는 광주학생의거(1929년)가 있었던 것 아닙니까? 반일 민족주의 사상이 팽배하게 일어나 전국 방방곡곡을 휩쓸고 있을 무렵이었지요.

 

그러한 민족주의 사상은 어린 자식들을 제대로 키워야 되겠다는 생각으로 표출되었고 그러한 사조의 표현 중 하나가 유치원을 세우는 운동으로 번져나간 것이 아닐까 생각되는군요. 나도 그 덕분에 여섯 살 때 선친께서 말하자면 나를 위해 지어주신 유치원에 들어가 보모 선생님이 치는 풍금에 따라 다른 동무들과 함께 노래도 부르고 율동이라고 하던 춤도 추고 했지요.

 

그때 부르던 노래의 하나가 <봉사씨>였는데 무슨 까닭인지 벌써 80년 전 옛날에 부르던 그 노래가 생생하게 기억에 떠오르고 그것을 부르던 때의 추억이 눈물겹도록 그리워지곤 합니다. 누구의 작사이며 누구의 작곡이었는지 알 수 없으나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은 것이었지요.

 

‘나는 조꼬(조그)만 봉사(복숭아의 평안도 방언)씨외다/ 까만몸 홀로 튀어 굴러서/ 검은 흙속에 묻히는 뜻은/ 봄에 고운싹 나렴(나려함)이외다’

 

선친께서 나를 위해 지으신 유치원은 영등포교회의 흥화(興化)유치원이었는데, 손수 붓글씨로 동그란 간판을 쓰시고 그것을 유치원 기와지붕 밑에 끼우시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게 떠오릅니다. 선친은 그때 지방 개척교회의 일을 그만두시고 그 교회의 장로로 계시던 때였어요.

 

나이가 어린 탓도 있었겠지만 그 유치원의 이름이 어째서 ‘흥화’였는지 선친께서 내게 일러주신 일도 없고, 그 후 오랫동안 그 연유를 모르는 채 세월을 보내온 것인데, 우리나라가 일본의 손아귀로 굴러떨어지던 을사조약 때(1905년), 할복자살로 이에 항의한 충정공 민영환 선생께서 생전에 민족주의 사상의 고취를 위하여 사재를 털어 지으신 학교의 이름이 흥화학교였다는 것이지요.

 

아무튼 그 무렵 자기 아들을 위해 유치원까지 지어주신 분이 우리 아버님 외에 또 있었을까 생각하면서 나이를 먹어왔는데, 요즘 와서 리영희 선생의 자서전 <대화>(2005년 한길사)를 읽어 내려가면서 한편 놀랍고 한편 감동스러움을 억누를 수 없었답니다. 나보다 5년 아래(1929년생)인 리 선생이 어린 시절 유치원에 다녔는데, 그곳은 1975년 약사봉으로 등산 갔다가 암살당한 의혹이 일었던 장준하 선생이 다니신 곳이자 그 아버님 장석인 목사가 아들을 위해 손수 지으신 유치원이 아니겠습니까!

 

장준하 선생께서 자라나신 고향은 평북 삭주군 대관동(朔州郡 大館洞)이고, 내가 나서 자란 곳은 지금은 서울 한복판이 되어버린 경기도 시흥군 영등포면이었지만, 아아 그 무렵, 장석인 목사나 나의 선친 정인환 장로나 비록 서로가 멀리 떨어져 있었다고는 하나 같은 뜻을 지니고 사신 분들이셨구나, 퍽 감동스러웠어요.

 

장준하 선생께서는 나보다 나이가 여섯 살이 위이시고(1918년생) 내가 망명 전 본국에 있는 동안 만나 뵙고 인사를 드린 일도 없었으나, 거의 같은 시절 같은 뜻으로 세워진 유치원을 다니셨다면 ‘고운 싹이 틀 봄을 기다리면서 봉사씨는 검은 흙 속에 묻혀야 한다’는 그 노래를 부르셨을 것 아니겠는가. 장준하 선생께서는 박정희 정권 때 의문의 죽음을 당하시고, 나는 나대로 그러한 박정희가 혐오스러워 또다시 돌아올 수는 없으리라는 각오로 고향 땅을 하직한 뒤 40년 가까이 이국땅에서 세월을 보내온 까닭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봄을 기다리겠노라 헛되이 튀어 굴러 검은 흙 속에 묻힌 때문이었을까? 그렇다고는 하나 만일 장준하 선생이 다시 태어나 같은 시대를 살았다고 해도 약사봉을 피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 아닐까. 나 역시 다시 태어나 같은 시대를 살았다고 해도 망명길을 피한다는 일이 있었을 것인가. 봉사씨가 검은 흙 속을 피할 수는 없는 것은 어찌할 수 없는 운명이 아니었을까?

 

나는 그렇게 믿지 않을 수가 없어요.

 

 

정경모 재일 통일운동가

 

 

기사등록 : 2009-05-04 오후 06:17:28 기사수정 : 2009-05-08 오후 03:3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