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9일 기륭전자 앞에서는 조각가 고 구본주 5주기 작품전이 열렸다. 이 날은 90일이 넘는 단식 끝에 병원에 실려가야 했던 기륭전자 김소연 분회장이 현장에 복귀하는 날이기도 했다. 천일이 넘도록 고단한 싸움을 벌이고 있는 기륭전자 노조원들과 구본주의 만남은 그렇게 이루어졌다. 기륭전자와 비정규직 철폐를 위한 싸움에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송경동 시인이 28일 문화제에서 낭송한 시를 게재한다. 독자들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 / 편집자. |
지난 겨울
내설악 어느 외로운 골짜기에 스스로를 유폐하고
3개월을 폐인처럼 보냈다
밤새 내리는 눈
산사의 종소리는 밤마다 서른 세 번씩 울렸다
나도 누군가의 마음에 그렇게 긴 여운의 소리로 스며들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푸른빛으로 꽁꽁 언, 빈 겨울 하늘에 초승달로 걸려
속가슴을 찌르곤 했다
긴 세월을 돌아 작은 한 소년이
이젠 혼자술에 취해 망연히 창가에 선 장년이 되었다
겨울처럼 깨어보면 늘 반짝이는 아침이었다
세상에 늘 새로운 아침이 하루마다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운인지
그렇지 않았다면 아마도 더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말았을 것이라는 괜한 생각.
나는 죽어도 대낮이 될 수 없을 거라는 아픔에 목이 메어 왔다
오, 나도 아침을 노래하는 시인이 되고 싶다
오, 나도 행복을 나눠주는 가수가 되고 싶다
오, 나도 희망만을 깎는 조각가가 되고 싶다
그러나 난 욕심쟁이였다
난 타락한 영혼이었다
난 혼자였고 난 비겁이었으며 독선이었고 두려움이었다
사이비 활동가 사이비 주술사였다
진실을 말하자면 적개심과 시기와 질투 얄미움으로만 가득찬
말할 수 없는 상처였다
수십 년, 수백 년 움직이지 않는 자세로
내설악 어느 산모퉁이에 서 있는 나무 한 그루보다
내가 더 영예롭고 존엄하다고 어떻게 자신할 수 있을까
발이 푹푹 빠지는 겨울 설악산 낙엽의 늪 속에서
어떤 돌아오지 못할 길이라도 있으면
그 길로 가고 싶었다
정말이다, 방법만 있다면
나는 이 개같은 세상을 떠나
다른 세상으로 건너가고 싶다, 아니
암울한 나를 떠나 희망찬 나로 가고 싶다
문제는 이 세상이 아니라 나다
나의 문제다
이 욕망을 떠나 저 해방으로 갈 수 있다면
이 소유욕과 집착을 떠나 저 너른 연대로 갈 수 있다면
나도 모르게 기도하는 날들이 많아졌다
무슨 마음을 더 갖기보다
밤 물소리 따라 남은 마음들마저 작별해 보내는 날들이 많아졌다
가만히 서 있는 나무들도
단 한번도 멈추지 못하고 흘러가야 하는 저 밤물결들도
저 멀리 떨어져 있는 달빛도 별빛도
모두 외로워하지 않는데
왜 나는 청승을 떠는가
내 안에 있는 나에게도
이젠 그만 나를 떠나달라고 애원하고 싶은 밤들이었다
갈 수 있는 길은 많지 않았다
돌아설 길도 많지 않았다
나는 내가 걷던 길을 계속 걷기로 햇다
아니, 더 편파적으로 구체적으로
당파적으로 혁명적으로 걷기로 했다
별 길도 아니었다
뼈빠지는 설움으로 내 몸에 새겼던 노동자의 길,
소외된 인간들이 쓸쓸히 등부비며 걷던 변두리 골목길,
모든 것들이 위대해 보이던 세상의 길,
지지말자 약속했던 반제반전반자본의 가시밭길
또 다시 상처받더라도 사랑하며 가는 길,
우리에게 끝까지 남을 것은 돈도 명예도 아닌
그 어떤 터치와 깎임과 떨림과 나눔과 사랑뿐이라는 것을
믿으며 쉬지 않고 내달리는 길
그 길에서 잊혀져도 좋은 길
잊혀져도 기꺼운 길
나는 움직이는 인간이었으므로
나는 누구보다도 더 많이 너의 아픔 앞에서 흔들리는 인간이었으므로
나는 관습을 증오하는 인간이었으므로
나는 창조하는 인간이었으므로
나는 모든 인간들의 모든 생산을 경외하는 인간이었으므로
모든 자연과 함께 묶여 있음을 기뻐하는 인간이었으므로
혼자가 아닌 만인임을 알았던 인간이었으므로
이 세상에 그 무엇도 그냥 사라짐은 없으리
이 세상에 그 어떤 마음도 그냥 사라짐은 없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