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딸이 어머니에게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했다.
사는 게 너무 힘들어서 이제 그만 두 손 들고 싶다고 했다.
어머니는 딸을 데리고 부엌으로 갔다.
그리고 냄비 세 개에 물을 채웠다.
그리고는 첫 번째 냄비에는 당근을 넣고,
두 번째 냄비에는 달걀을 넣고
세 번째 냄비에는 커피를 넣었다.
어머니는 냄비 세 개를 불 위에 얹고
끓을 때까지 아무 말도 없이 앉아 있었다.
한동안 시간이 지난 후 불을 끄고 딸에게 당근을 만져보라고 했다.
당근은 만져보니 부드럽고 물렁했다.
그런 다음 어머니는 달걀 껍데기를 벗겨보라고 했다.
껍데기를 벗기자 달걀은 익어서 단단해져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는 딸에게 커피 향내를 맡고 그 맛을 보라고 시켰다.
딸은 커피 향을 맡고 한 모금 마셨다.
어머니는 설명했다.
"이 세 가지 사물이 다 역경에 처하게 되었단다.
끓는 물이 바로 그 역경이지.
그렇지만 세 물질은 전부 다 다르게 반응했단다.
당근은 단단하고 강하고 단호했지.
그런데 끓는 물과 만난 다음에 부드러워지고 약해졌어.
달걀은 연약했단다.
껍데기는 너무 얇아서 안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보호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끓는 물을 견디어내면서 그 안이 단단해졌지.
그런데 커피는 독특했어.
커피는 끓는 물에 들어간 다음에 물을 변화시켜 버린거야."
그리고 어머니는 딸에게 물었다.
"힘든 일이나 역경이 네 문을 두드릴 때 너는 어떻게 반응하니?
당근이니, 달걀이니, 커피니?"
나는 강해보이는 당근인데 고통과 역경을 거치면서
시들고 약해져서 내 힘을 잃었는가.
나는 유순한 마음으로 시작했지만 열이 가해지자 변하게 된 달걀일까.
전에는 유동적인 정신을 지니고 있었지만 죽음과 파경과 재정적인 고통이나 다른
시련을 겪은 후에 단단해지고 무디어졌을까. 껍데기는 똑같아 보이지만 그 내면에
서는 내가 뻣뻣한 정신과 굳어버린 심장을 지닌 채 쓰디쓰고 거칠어진 것은 아닐까.
아니면 나는 커피와 같을까.
커피는 실제로 고통을 불러온 바로 그 환경인 뜨거운 물을 변화시켰다.
물이 뜨거워졌을 때 커피는 독특한 향기와 풍미를 낸 것이다.
만약 내가 커피와 같다면 그럴 때 나 자신이 더 나아지고
주위 환경까지도 바꾸어 놓을 수 있다.
어둠속에서 시련이 극도에 달했을 때 나는 다른 레벨로 상승할 수 있을까??
- 출처 : 우애령, 희망의 선택 중에서
- 아주 특별한 성공(http://cafe.daum.net/healingwizard) -
'삶을 살아가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허허물물의 나라 (0) | 2015.09.06 |
---|---|
"6월 6일 '생탁' 희망버스 타고 부산으로" 생탁·택시 고공농성 부산대책위 전국 규모 희망버스 추진 (0) | 2015.06.03 |
“박근혜 정부와의 투쟁, 민주노총이 선두에 서겠다” 인터랙티브 인터뷰 - 민주노총 한상균 위원장 (0) | 2015.01.02 |
최일배 위원장, 42일 째 건강악화로 단식 중단 (0) | 2014.12.20 |
[이남신 칼럼] 지옥도를 벗어나기 위해 씨앤앰 꼭 이겨야 한다 (0) | 201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