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비정규직 철폐투쟁

기아차 노사, ‘비정규직 정규직화 특별교섭’ 시작

참된 2013. 4. 20. 09:06

기아차 노사, ‘비정규직 정규직화 특별교섭’ 시작

노조 ‘전원 정규직화’ 요구...회사 미온적 태도 우려도

 

기아차가 비정규직 정규직화 특별교섭 요구를 수용하면서, 기아차 비정규직 분신 사태가 교섭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19일 총파업을 예고했던 기아차 광주지회는 총파업 지침을 철회하고 특별교섭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앞서 광주지회는 18일까지 회사가 특별교섭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19일 무기한 전면파업에 나설 것이라 경고해 왔다. 이에 회사는 비정규직 문제는 광주공장 소관이 아니라 특별교섭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다, 18일 자정께에야 노조의 교섭 요구를 받아들였다. 현대차지부와 지회, 사내하청분회, 회사는 19일 오후 3시부터 비정규직 정규직화 특별교섭에 돌입했다.

일단 특별교섭은 시작됐지만, 이후 노사 논의가 순항할 지는 미지수다. 현대차 불법파견 문제조차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기아차가 비정규직 문제에 적극 나설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기아차가 교섭에 미온적으로 응할 경우, 작년 특별교섭 실패의 전례를 반복할 우려도 있다.

앞서 기아차 노사는 지난해 8월말부터 5차례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특별교섭을 진행했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흐지부지 마무리됐다. 당시 사내하청분회는 특별교섭 요구안으로 △모든 사내하청 정규직화 △더 이상의 비정규직 사용금지 △비정규직에 대한 구조조정, 전환배치 금지 등을 제시했다.

기아차 광주분회 관계자는 “회사는 작년 특별교섭 시기, 현대차 특별교섭에서 나왔던 안을 그대로 제시하며 현대차 따라가기에 바빴다”며 “결국 회사가 현대차 눈치를 보느라 논의가 진전되지 않았고 흐지부지 끝나버리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노조는 기아차가 현대차처럼 불법파견 판정을 받은 사례가 없는 만큼, 이를 명분삼아 미온적인 교섭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관계자는 “회사나 주위에서는 기아차의 경우 불법파견 공정이 없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것이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이라며 “현재 기아차 역시 모든 공정에 대한 작업과 지시는 원청에서 내려오기 때문에, 그 지시를 받고 일하는 모든 사내하청 노동자는 불법파견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그는 “분신한 김 모 조직부장의 요구가 신규채용 중단과 450여 명 전원 정규직화였던 만큼,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교섭을 이어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아차는 그간 62만 대 증설에 따른 일자리에 사내하청노동자를 배제하고, 신규채용을 진행해 왔다. 이에 기아차 광주공장 사내하청분회는 광주공장 앞에서 두 달 째 신규채용 중단과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천막농성을 벌였다. 지난 16일에는 사내하청분회 김 모 조직부장이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분신을 시도하기도 했다.